‘유전자 가위’로 살아 있는 세포의 유전자(DNA) 추적한다!
김하진 교수팀, 세포 속 유전자 움직임 장시간·고감도로 관측 가능한 기술 개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 DNA 응집구조 관측 가능...
김하진 교수팀, 세포 속 유전자 움직임 장시간·고감도로 관측 가능한 기술 개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 DNA 응집구조 관측 가능...
UNIST · 부산대학교, 한국사회과학연구사업(SSK) 신규 과제 선정 과학적 접근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융합연구로 주목! “우리는 더 많은 연결 속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지만, 사람들의 인식은 오히려 양극화되고 있고 그 결과 다양한 사회갈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이런 현상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히고, 사회문제 해결까지...
UNIST 강주헌 교수팀, 인체 혈관 모방한 감염 조기·신속 진단 기술 개발 다양한 감염원 적용 가능·저렴한 현장 진단 기술…Biosensors & Bioelectronics 게재 인체의 면역반응을 모방한 ‘인공 혈관 칩’에 혈액 한 방울을 떨어뜨려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여부를 즉석에서 진단하는 기술이 나왔다. 열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감염 여부를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