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경 교수, ‘네이처’에 소개된 UNIST 여성 과학자 엑소좀 기술로 맞춤형 암 진단·치료 가능성 높여 후배 여성 과학자들에게 “주도적 인생 설계” 강조 조윤경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정보바이오융합대학장)가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을 맞아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에 소개됐다. 이번 특집 기사에서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SD) 키아나 아란(Kiana Aran) 교수 추천으로 조 교수의 연구 성과가 다뤄졌다. 키아나 아란… Category01 2025.04.27
다른 사람 성향 잘 맞춰주는 비결… 뇌 ‘여기’에 있었네! UNIST 정동일 교수팀, 타인의 존재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뇌 TPJ, mPFC 영역 간‘연결성’↑ 타인 성향 반영 잘해…eLife 게재 타인의 성향을 자신의 의사결정에 잘 반영하는 사람일수록 뇌의 특정 부위 간의 연결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UNIST(총장 박종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 교수팀은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Category01 2025.04.27
고품질 오가노이드의 대량 생산 기반 기술 확보 3차원 나노섬유 멤브레인으로 구현한 유니맷 플랫폼 개발 □ 동물대체시험법 및 재생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김동성 교수(포스텍, 제1저자 김도희 연구원) 연구팀과 박태은 교수(UNIST, 제1저자 임현지 연구원) 연구팀이 공동으로 생체 기능을 구현한 오가노이드*를 균일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오가노이드 : 줄기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만든 장기유사체로 미니 장기, 유사… Category01 2025.04.27
저절로 리듬 타는 물방울 만들어 볼까? UNIST 정준우 교수팀, 랩온어칩에서 물방울 형성의 동기화 발견 유체계면[물-기름]간 진동 상호작용 규명….Nature Comm. 게재 반딧불은 지휘자 없이도 박자를 맞춰 동시에 깜박인다. 진동하는 두 시계추도 서서히 박자를 맞춘다. 동기화 현상이다. 흐르는 액체 속에서도 동기화 현상이 나타난다. 물 속에서 유영하는 세포나 미생물의 무수히 많은 발(섬모, 편모)이 보이는… Category01 2025.04.27
자석 하나로 혈장 분리해내는 신개념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자석만으로 혈액에서 혈장을 깨끗하게 분리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동력·무전원 혈장 분리 기술이다.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현장 진단형 혈액검사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주헌 교수팀은 칩 속을 흐르는 혈액에 자석을 갖다 대면 자석에서 먼 쪽으로 혈구가 밀려 나가… Category01 2025.04.27
패혈증 원인균, 자석으로 쏙쏙 뽑아낸다 UNIST·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적혈구-초상자성 나노입자 개발 성공 체외 혈액 정화로 패혈증 치료 가능해… Small Methods 게재 체외 혈액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실제 환자와 유사한 실험조건에서도 뛰어난 치료 효과를 나타내, 패혈증 치료의 새로운 길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주헌, 주진명… Category01 2025.04.27
자가 혈액으로 흉터없이 상처 회복시킨다! UNIST 강주헌 교수팀, 세계 최초 혈액 인공조직 3차원 가공기술 개발 미세유체기술 가공해 피부재생… Advanced Materials 표지 논문 선정 미세혈관조직 이식체는 피부 상처에 이식했을 때 혈관을 재생시키고 흉터 없이 상처를 회복시킨다. 최근 자가 혈액을 사용해 ‘3차원 미세혈관조직 이식체’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해당 기술은 만성창상을… Category01 2025.04.27
감염병 치료 효과 크게 높이는 新자성나노입자 강주헌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 ‘혈액세포막-자성나노입자’ 활용 혈액 정화 치료법 개발 슈퍼박테리아와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종 제거, “범용 치료법”… Small 게재 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 같은 감염병 원인을 깔끔하게 없애는 기술이 개발됐다.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135종을 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종들도 혈액에서… Category01 2025.04.27
2~3일 걸리던 혈액 세균 감염, 이젠 3시간 안에 알아낸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분당서울대병원, 혈액 균 감염(균혈증) 조기 진단 기술 개발 미세유체 칩+유전물질 검출(FISH) 기술 융합해 극미량 세균 정량 검출… Small Methods 게재 혈액의 세균 감염 여부를 3시간 안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최대 2~3일이 걸리던 진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앞당긴 기술이다. 추가 검사 없이 단번에… Category01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