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뉴스

UNIST-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 방사선 의과학’ 연구 나선다

3일(금), MOU 체결… 중입자치료 및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관련 협력 추진 2026년 서울대학교병원 기장암센터 개원 시 인력교류 및 공동연구 확대 암 정복 기술로 주목받는 ‘중입자치료’ 등 방사선 의과학 분야의 발전에 UNIST와 서울대학교병원이 함께 나서기로 했다. UNIST와 서울대학교병원은 3일(금) 오전 11시, UNIST 대학본부 6층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에 따라...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혈액·소변 등 생체시료 전처리 없이 현장진단기기로 직접 분석 암·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조기 발견 가능 2022.05.23  IBS  커뮤니케이션팀기초과학연구원(IBS)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첨단연성물질 연구단(단장 스티브 그래닉) 조윤경 그룹리더(UNIST 바이오메디컬 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다공성 금 나노전극 기반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센서로...

㈜클리노믹스, 울주강소특구 1호 ‘첨단기술기업’ 선정

UNIST 교원창업 1호 벤처기업, ㈜클리노믹스가 ‘첨단기술기업’으로 선정됐다. 울산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관내 제1호 첨단기술기업’이 된 것. 이를 기념하는 현판식이 지난 4일(수) 오전 11시 제4공학관(110동)에서 열렸다. ‘첨단기술기업’은 연구개발특구에 입주한 기업 중 기술집약도가 높고 기술혁신 속도가 빠른 분야의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으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에 따라 지정된다. 지정을 위한...

UNIST·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바이오메디컬 분야 협력 추진!

바이오메디컬 분야 공동 연구 강화·창업 기업 발굴·지원 MOU 체결 4월 11(월) 오후 2시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서 협약식 개최   UNIST 산학협력단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과 바이오메디컬분야 공동 연구 활성화 등에 나선다. 양 기관은 11일(월) 오후 2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에서 ‘바이오메디컬분야 연구협력 및 의생명분야 창업기업 발굴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이학종...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대학원생, 아산사회복지재단 장학생 선정

UNIST 대학원생 2명이 2022년 아산사회복지재단 의생명과학분야 장학생으로 신규 선정됐다. 주인공은 강유진 생명과학과 대학원생(지도교수 이자일)과 정원우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대학원생(지도교수 강현욱)이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의생명과학 분야 미래인재 육성을 위해 지난 2017년부터 관련 분야 대학원생을 선발해 지원하고 있다. 선발된 장학생들은 최대 4년 간 연 2,000만원 규모의 장학금 지원을 받는다. UNIST는 2017년부터 매년 신규 장학생을 배출하며, 의생명과학 분야 우수...

부작용 없고 모든 암에 적용 가능한 ‘만능 암 치료법’나왔다

정상세포 손상 없이 암세포만 쏙쏙 골라 죽이는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의길이 열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이 부작용 없이 모든 종류의 암에 적용할 수 있는 암 치료법 '신델라(CINDELA,Cancer specific INDEL Attacker)'를 개발했다. 세부 기사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2/172124/ ...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바로바로 ‘느끼는’ 전자 피부 나왔다

[시사뉴스 정은주 기자] 우리는 손의 감각으로 물체를 잡고, 발의 감각으로 안정적으로 걸어 다닐 수 있다. 즉, 피부의 감각이 외부 환경이나 자극과 인체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 기능이 떨어지면 물건을 잡거나 사용하는 것은 물론, 화상을 입을 수준의 열과 같은 위험한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어려워진다. 이...

배우자 선택 눈 높은 이유 있었다!.. 주관적 효용 극대화 때문

결혼 상대 찾기, 주택 매입의 공통점이 있다. 현실적 제약 때문에 가능한 전체 선택지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한 채 특정 시점에서는 탐색을 멈추고 선택을 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제한적 순차 의사결정이라 불리는 이 상황에서 사람들은 ‘비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하는 새로운 수리모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