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웅규 Tag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IBS 연구진, DNA 상동재조합 초기 복구 메커니즘 규명 상동재조합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방암, 난소암 등 항암 연구에 활용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이규영 연구위원(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가장 심각한 DNA 손상으로 알려진 ‘DNA 이중나선절단(Double-strand break)’의 초기 복구 단계가 정교하게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 복구 과정에...

자기반응성 T세포의 자가항원 반응의 새로운 시각 제시

UNIST 박계명 교수팀, T세포의 자기반응으로 자기·비자기 구분 가능성 제시 세포의 상호작용 면역학적 현상들에 대한 이해도 높여… Trends in Immunology 게재 면역계의 T세포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분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면역관련 질병 치료 반응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의과학대학원...

인간의 위점막 모사해 헬리코박터균 방어시스템 발견했다

UNIST 박태은 교수팀, 미세유체 기반 위점막 장벽 모사 생체칩 개발 위점막펩티드의 독특한 방어시스템 관찰… Adv. Sci. 게재 인간의 위점막 시스템을 모사한 생체칩이 개발됐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상황을 재현해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 질환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공성호 교수 연구팀은 오가노이드(Organoid)와...

뇌 질환 치료를 위한 혈액-뇌 장벽 모델 개발됐다!

UNIST-POSTECH 연구진, 생체내 기저막 모사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 개발 인간 혈액-뇌 장벽을 모사하여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 Biomaterials 게재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POSTECH(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김동성 연구팀은 생체 기저막을 모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활용한 기능성 혈액-뇌 장벽 모델을 개발했다.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은 혈관내피세포와 그 주위를 둘러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