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과정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는 세계적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여 인류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차세대 리더들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의 시작을 UNIST에서

바이오메디컬공학은 최첨단 공학기술과 의생명 과학분야의 융합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더 나아가 건강한 인류의 삶을 위한 진단, 분석, 치료 및 재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은 국내외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미래 핵심 선도산업 분야 가운데 하나이며, 초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더욱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입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학부 프로그램은 학문의 경계를 허물고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과 연구 경험을 제공하여, 우리나라를 헬스케어 강국으로 이끌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산업의 중심에서 인류의 건강에 이바지 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우리 학과에서 꿈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공학 분야 중 하나입니다.

 

UNIST 학생들은 1학년을 마치고 전공 학과를 선택합니다. 이 때 바이오메디컬공학과를 선택한 학생들은 수학, 생물학, 기초 공학 등 바이오메디컬공학 관련 기초 과정을 수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6개의 BME 연구 중점분야에 관련된 고급 과목들을 수강하게 됩니다. 또한 졸업 전 대학원생 및 교수진과 함께 배운 내용을 실제 구현해 보는 캡스톤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됩니다.

 

 

UNIST 학부 학생들은 전공선택없이 입학하여 1학년 동안 기초과목을 수강하고, 1학년을 마치는 시점에서 학과를 결정하게 됩니다.

 

1학년 2학기에 학과 소개 과목인 ‘세상을 바꾸는 바이오메디컬공학(UNI107)’ 과목을 수강하면 왜 바이오메디컬공학과(BME)를 선택해야 하는지 이유를 알게 될 것입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의 학부 과정은 수학, 통계, 프로그래밍을 포함한 핵심 공학 과목과 생리학, 세포생물학 등 의학 생물학의 핵심 과목을 통해 기초를 다지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6개 집중 연구 분야 가운데 제안된 고급 과목을 통해 전문적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기기실험 및 캡스톤 프로젝트,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실제 배운 지식을 구현하는 방법도 얻게 됩니다. 각 연구 분야별로 제안된 커리큘럼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6가지 중점연구분야

바이오메디컬 이미징
단일 분자에서부터 인체 장기까지 다양한 대상에 대해 연구하는 이미징 기술 분야는 오늘날 거의 모든 분야의 의생물학 연구 및 의료 현장의 질병 진단 관련 핵심 기술입니다. 바이오메디컬 이미징 분야에서는 최첨단 현미경을 가지고 최신 이미징 기술에 대해 공부합니다.
교과목
바이오센서와 신호, 광학이미징, 뉴로이미징개론, 전산이미징 등
뇌인지공학
뇌인지공학에서는 인간의 정보 처리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뇌 기능과 관련된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싶나요? 인간의 뇌처럼 작동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싶나요? 뇌인지공학에서 마음의 비밀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
교과목
인지공학, 감각과 지각, 의사결정의 신경과학, 뇌와 인간활동 등
재활 및 재생공학
인간의 세포, 조직, 장기를 재생시키고, 손상된 조직을 대체하는 재생의학 연구가 궁금하신가요? 의학 및 공학적 이론과 기술을 접목한 재활을 위한 바이오닉스 기술에 관심 있나요? UNIST에서 재생 및 재활공학을 만나보세요. 초고령화시대에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최첨단 미래 기술을 배웁니다.
교과목
조직공학, 생체모사공학 줄기세포공학, 고급생체계측실습 등
개인맞춤형 진단 및 치료
개인 맞춤형 나노의학을 통해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는 나노기술 기반 치료제를 만들고 원하는 표적에 전달하는 기술에 대해 배웁니다. 또한 미세유체기술과 랩온어칩 기술을 통해 빠르고 정확한 암진단 및 감염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교과목
생체유체역학, 나노생체재료, 의생명화학, 나노바이오공학 등
게놈 및 바이오인포매틱스
인간의 설계도 ‘게놈’에 대해 배워보세요. 게놈 안에는 암과 같은 각종 질병을 포함하여 인간의 삶에 대한 비밀스런 수수께끼가 담겨있는 우리 삶의 청사진입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우리 삶의 청사진, 게놈을 고쳐서 질병을 치료하는 최첨단 유전자 편집 치료 기술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교과목
생물정보학개론, 게놈학, 유전학, 암게놈학, 게놈응용기술학 등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는 첨단 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의 진단 및 예방, 치료, 관리에 대한 기존의 의료 체계를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우리가 보다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게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입니다.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서는 미래의 정밀한 원격 진료를 가능하게 하고, 디지털 기술로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교과목
의생명기기분석, 의료기기실험, 생물물리학, 생체역학, 고급생체계측실습 등

Curriculum

Sophomore

BME210 Engineering Mathematics
BME211 Engineering Physiology
BME204 Biosensors & Signals
BME212 Biomedical Instrumentation & Analysis
BME219 Optical Imaging

Junior Year

BIO301 Cell Biology
BME301 Computational Metho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BME306 Biostatistics for Engineers
BME313 Biomedical Instrumentation Laboratory
BME330 Introduction to Phenomics
BME331 Introduction to Neuroimaging
BME320 Advanced Biomedical Instruments
BME321 Biomedical Optics

Senior Year

BME411 Biological Physics
BME433 Laser and Biomedical Application
BME407 Computational Imaging
BME490 Capstone Project

Sophomore

BME210 Engineering Mathematics
BME211 Engineering Physiology
BME222 Introduction to Human Factor Engineering
BME206 Cognitive Neuroscience

Junior Year

BIO301 Cell Biology
BME301 Computational Metho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BME303 Color Science & Engineering
BME304 Brain and Human Behavior i-Common to humans
BME306 Biostatistics for Engineers
BME308 Sensation and Perception
BME309 Decision Making and the Brain
BME305 Brain and Human Behavior ii-Difference between humans
BME310 Experimental Design
BME313 Biomedical Instrumentation Laboratory

Senior Year

BME434 Computational Neuroscience
BME436 Affective Engineering
BME490 Capstone Project

Sophomore

BME210 Engineering Mathematics
BME211 Engineering Physiology
BME213 Biophysical Chemistry
BME204 Biosensors & Signals
BME212 Biomedical Instrumentation & Analysis

Junior Year

BIO301 Cell Biology
BME301 Computational Metho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BME306 Biostatistics for Engineers
BME311 Transport Phenomena in Biological Systems
BME313 Biomedical Instrumentation Laboratory
BME320 Advanced Biomedical Instruments
BME325 Nano-Bio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Senior Year

BME408 Biomedical Chemistry
BME421 Nano-Bio Engineering
BME490 Capstone Project

Sophomore

BME210 Engineering Mathematics
BME211 Engineering Physiology
BME222 Introduction to Human Factor Engineering
BME235 Tissue Engineering
BME212 Biomedical Instrumentation & Analysis

Junior Year

BIO301 Cell Biology
BME301 Computational Metho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BME306 Biostatistics for Engineers
BME302 Stem Cell Engineering
BME307 BioMechanics
BME311 Transport Phenomena in Biological Systems
BME313 Biomedical Instrumentation Laboratory
BME325 Nano-Bio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Senior Year

BME412 Organ-on-a-chip
BME405 Animal Cell Culture
BME413 Advanced BioInstrumentation Lab.
BME490 Capstone Project

Sophomore

BME210 Engineering Mathematics
BME211 Engineering Physiology
BME203 Introduction to Bioinformatic
BME201 Probability, Statistics and Biological Network
BME202 Genomics

Junior Year

BIO301 Cell Biology
BME301 Computational Metho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BME306 Biostatistics for Engineers
BME313 Biomedical Instrumentation Laboratory
BIO333 Genetics
BME326 Genome Technology

Senior Year

BME410 Advanced Proteomics
BME424 Cancer Genomics
BME404 Advanced Topics in Genomics
BME490 Capstone Project

Sophomore

BME210 Engineering Mathematics
BME211 Engineering Physiology
BME204 Biosensors & Signals
BME212 Biomedical Instrumentation & Analysis

Junior Year

BIO301 Cell Biology
BME301 Computational Metho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BME306 Biostatistics for Engineers
BME307 Biomechanics
BME311 Transport Phenomena in Biological Systems
BME313 Biomedical Instrumentation Laboratory
BME320 Advanced Biomedical Instruments

Senior Year

BME411 Biological Physics
BME433 Laser and Biomedical Application
BME413 Advanced Bioinstrumentation Lab
BME490 Capstone Project

지도교수 및 멘토링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전 교수진은 학생들이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수업 선택에서부터 연구 주제, 진로 상담까지 여러 방면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모든 학부생들은 학과를 선택하면서 동시에 학과 지도 교수님을 배정받고, 추가로 학부생 담당 위원회 교수님들로부터 다양한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학사 관리 규정 등에 대한 내용과 행정 업무는 아래의 학사 관리 담당 선생님께 문의하세요.

학사관리

김영화

UNIST 입학

  • 유니스트 학부 입학 관련한 모든 정보는 유니스트 학부 입학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유니스트 본원 방문 프로그램을 통해서 고등학생을 위한 캠퍼스 투어가 가능합니다.
  • 유니스트는 주니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이언스캠프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