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연결시대, 왜 우리는 극단화될까?” … 융합연구로 푼다! UNIST · 부산대학교, 한국사회과학연구사업(SSK) 신규 과제 선정 과학적 접근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융합연구로 주목! “우리는 더 많은 연결 속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지만, 사람들의 인식은 오히려 양극화되고 있고 그 결과 다양한 사회갈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이런 현상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히고,… 2020.09.01
혈액 한 방울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 즉석에서 알아낸다 ! UNIST 강주헌 교수팀, 인체 혈관 모방한 감염 조기·신속 진단 기술 개발 다양한 감염원 적용 가능·저렴한 현장 진단 기술…Biosensors & Bioelectronics 게재 인체의 면역반응을 모방한 ‘인공 혈관 칩’에 혈액 한 방울을 떨어뜨려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여부를 즉석에서 진단하는 기술이 나왔다. 열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감염… 2020.08.29
RNA 만드는 중합 효소의 거꾸로 가는 움직임 발견 미토콘드리아內 RNA 중합효소의 움직임 포착 새로운 전사 조절 매커니즘 존재 가능성 제시..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전사하는 효소의 새로운 움직임(백트래킹)이 발견됐다. 전사는 DNA(유전정보) ‘사본’인 RNA를 합성하는 과정이다. 이 발견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발현의 핵심인 전사(transcription)과정을 이해하는데 실마리가 될 전망이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하진 교수팀은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전사하는 효소(RNA 중합효소)가 ‘거꾸로… 2020.08.27
광학현미경의 진화… “한 번 관찰로 두 가지 결과 동시에 본다” 박정훈 교수 연구팀, 세포 주변 유체 흐름과 세포 미세구조 동시 관찰 성공 빛 진폭을 공간적으로 제어해 촬영 영역별 선택적 파장 조사, 옵티카(Optica) 표지논문 선정 살아있는 세포와 그 주변을 흐르는 혈액과 같은 유체(움직이는 액체)를 동시에 고화질로 관찰 할 수 있게 됐다. 정지된 화면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능력인… 2020.08.10
2020 한국바이오칩학회 춘계학술대회 ‘최우수 구두 논문 발표상’ 수상 한국바이오칩학회 춘계학술대회 “신진연구자발표” 세션에서 신속한 패혈증 진단법에 대한 연구주제 발표로 ‘최우수 구두 논문 발표상’ 수상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인 이민석 학생 (지도교수 : 강주헌 교수) 이 2020년 7월 8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된 한국바이오칩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구두 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이민석 학생은 강주헌 교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의 지도아래 석박통합과정으로… 2020.07.10
‘척수 마비’ 치료하는 ‘세포 치료제’ 나왔다! UNIST 김정범 교수팀, 운동기능 회복시키는 환자 맞춤 자가세포치료제 개발 루게릭병 등 질환에도 적용 가능·산재전문공공병원과 시너지 기대..eLife 논문게재 몸체를 지탱하는 척추 뼈 안에 있는 신경조직인 ‘척수’는 한 번 손상을 입으면 회복하기 힘들다. 그런데 최근 피부세포에서 얻은 운동신경 세포로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연구가 발표돼 주목을 받고 있다…. 2020.07.03
한국인 1천명 게놈 빅데이터 구축… 질병 분석력 높인다 UNIST, ‘한국인 1천명 게놈(Korea1K)’ 발표… ‘울산 만명 게놈 프로젝트’ 성과 암 등의 질병 맞춤 정밀의료 분석 가능…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KOGIC)는 한국인 1,094명의 ‘전장 게놈(유전체)’과 건강검진 정보를 통합 분석한 ‘한국인 1천명 게놈(Korea1K)’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5월 27일자로 발표했다. 본 사업은 2015년… 2020.05.28
알츠하이머 병 초기에 잡는 유전자 치료제 개발 알츠하이머 병을 초기에 고칠 수 있는 유전자 치료제가 개발됐다. 알츠하이머 병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성을 차단하는 SPON1 유전자 주입을 통해 알츠하이머 질병 동물 모델에서 인지능 및 기억력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UNIST 생명과학부의 김정범 교수팀은 알츠하이머 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2020.05.21
요로감염의 현장검사 진단을 위한 피젯스피너 조윤경 생명과학부 교수팀, 장난감 원리로 감염 진단 가능한 기술 개발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손으로 돌리는 장난감처럼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디바이스로 병원체를 진단해낸다. 요로감염의 현장진단(Point-of-care)을 위한 피젯 스피너 : 간편하고 저렴하면 손으로 작동하는 휴대용 장치로 효율적으로 소변에서 병원체를 농축시켜 감지한다. 피젯 스피너의 디자인과 기능 선진국과 개도국을…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