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로 대장암 치료 길 열린다! 대장암을 면역 항암제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이세민 교수 연구팀은 대장암에 적용할 수 있는 저분자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의 작용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이 물질의 항암 매커니즘이 기존 면역 항암제와 달라, 둘을 병용하면 대장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화학연구원… 2021.09.14
인공 세포 소기관으로 조직 깊은 곳 세포까지 에너지 공급한다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가 확장되면서 단순한 관찰 수준을 넘어서는 인공적 재현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인위적으로 세포 소기관(artificial organelles)을 만들어 생체 촉매 반응을 모사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 소기관은 세포의 ‘장기’라 할 수 있는데, 세포호흡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 세포 내 소화기관 리소좀 등이 대표적이다. 이 기관에는 복잡한 생화학… 2021.09.14
울산시민대상 수상자 7명 선정…학술·과학기술 부문 조윤경 교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님께서 울산시민대상 학술·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뉴스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8139600057 2021.09.14
UNIST-LG유플러스 …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 발굴 함께 나선다!” UNIST와 LG유플러스가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발굴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양 기관은 25일(수) 대학본부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 및 실증, 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협력을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UNIST는 올해 3월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센터를 개소하고 의료기술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지능(AI) 등 첨단 IT 기술을 결합시킨… 2021.08.26
코로나 시대엔 ‘공평한 혜택 추구하는 공리주의적 리더’ 선호해 코로나 방역을 위해 교육받을 권리와 경제적 이익이 침해되더라도 학교와 상업시설을 닫는 것이 우선일까? 우리나라에서 만든 마스크는 우리나라 사람들만을 위해 비축해야 할까? 아니면 마스크가 절실하게 더 필요한 다른 국가에 나눠줘야 할까? 이러한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정치 지도자가 어떤 선택을 내리는지가 지도자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새로운 연구… 2021.07.09
2021 한국바이오칩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 ‘최우수 구두 발표상’ 수상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인 오지웅 학생 (지도교수 : 강주헌 교수) 이 2021년 6월 16일부터 18일까지 강원도 홍천 비발디파크에서 진행된 한국바이오칩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다. 오지웅 학생은 강주헌 교수 (바이오메디컬공학과)의 지도아래 석박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며, 혈장과 혈구의 자화율 차이를 이용한 혈장 분리 방법에 대한 연구를… 2021.06.28
자석 하나로 혈장 분리해내는 신개념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자석만으로 혈액에서 혈장을 깨끗하게 분리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동력·무전원 혈장 분리 기술이다.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현장 진단형 혈액검사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주헌 교수팀은 칩 속을 흐르는 혈액에 자석을 갖다 대면 자석에서 먼 쪽으로 혈구가 밀려 나가… 2021.05.25
“당신이 있어 2020 UNIST가 밝게 빛났습니다” UNIST는 지난 13일(화) 대학본부 4층 경동홀에서 ‘2020년 올해의 교원·직원포상 수여식’을 열었다. 시상식에서는 2020년 UNIST를 빛낸 우수 교원과 직원, 부서 등에 대한 시상이 진행됐다. 우수교원포상은 학술, 연구, 교육, 산학협력 각 분야에서 탁월한 공적을 보여준 교원에게 수여되고 있다. 포상추천위원회는 각 부문별로 대상 1명과 본상 2명을 선정해 총 12명의 교원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학술 부문 우수교원포상이 수여됐다. 왼쪽부터 류동수 자연과학대학 학장(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2021.05.10
한국인 만명 게놈 해독 완료! … 초대형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마련 UNIST와 울산광역시가 26일(월) 오후 2시 제4공학관(110동) N101호에서 한국인 만명 게놈 해독 완료를 선언했다. 지난 2015년 출범한 ‘게놈코리아 인 울산(Genome Korea in Ulsan)’을 통해 진행된 ‘울산 만 명 게놈 프로젝트’의 완료를 기념하는 것이다. 울산 만명 게놈프로젝트는 2016년 시작해 현재까지 건강인 4,700명, 질환자 5,300명 등 총 10,044명의 한국인 게놈 정보(Korea10K)를 수집, 해독했다. 이 범국민 게놈 기반 건강…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