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질환 치료를 위한 혈액-뇌 장벽 모델 개발됐다! UNIST-POSTECH 연구진, 생체내 기저막 모사하는 나노섬유 멤브레인 개발 인간 혈액-뇌 장벽을 모사하여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 Biomaterials 게재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POSTECH(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김동성 연구팀은 생체 기저막을 모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활용한 기능성 혈액-뇌 장벽 모델을 개발했다.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은 혈관내피세포와… Category01 2023.03.02
“일그러진 영상을 선명하게”… 손쉬운 영상 복원법 나왔다! 안개에 가려져 일그러진 영상을 쉽게 복원하는 방법이 나왔다. 비슷한 원리를 이용해 피부조직에 가려진 장기를 고해상도로 드러나게 할 수도 있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 교수팀이 왜곡된 영상에 숨어있는 정보를 이용해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자율주행차를 위한 고품질 영상이나 생체조직 내부의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할 기술로 주목받고… Category01 2023.01.30
‘2022 상위 1% 연구자’에 UNIST 10명!… “국내 최다” UNIST 교원 10명이 ‘세계 상위 1% 연구자(HCR)’에 선정됐다. 올해 명단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은 HCR을 보유한 기관이 UNIST다. 클래리베이트(Clarivate)가 15일(화) ‘2022 HCR(Highly Cited Researchers: 논문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을 공식 발표했다. HCR은 분야별로 논문이 인용된 횟수를 정리해 매년 발표하는 ‘상위 1% 연구자’ 명단이다. 올해 명단에 이름을… Category01 2022.11.18
1,700년 전 가야인은 이렇게 생겼다?… 한국인 뿌리 찾는 고유전체 분석 삼국시대 한반도인의 게놈을 최초로 분석한 결과가 국제학술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21일자로 게재됐다. 분석에 따르면 고대 한국인은 큰 틀에서 최소 2개의 유전자 정보 제공 그룹이 있었으며,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유전적으로 높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게놈 정보를 활용한 몽타주 예측 결과 삼국시대 한반도인은 외모상 현대… Category01 2022.06.27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혈액·소변 등 생체시료 전처리 없이 현장진단기기로 직접 분석 암·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조기 발견 가능 2022.05.23 IBS 커뮤니케이션팀기초과학연구원(IBS)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첨단연성물질 연구단(단장 스티브 그래닉) 조윤경 그룹리더(UNIST 바이오메디컬 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다공성 금 나노전극 기반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Category01 2022.06.08
㈜클리노믹스, 울주강소특구 1호 ‘첨단기술기업’ 선정 UNIST 교원창업 1호 벤처기업, ㈜클리노믹스가 ‘첨단기술기업’으로 선정됐다. 울산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관내 제1호 첨단기술기업’이 된 것. 이를 기념하는 현판식이 지난 4일(수) 오전 11시 제4공학관(110동)에서 열렸다. ‘첨단기술기업’은 연구개발특구에 입주한 기업 중 기술집약도가 높고 기술혁신 속도가 빠른 분야의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으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에 따라 지정된다…. Category01 2022.05.19
부작용 없고 모든 암에 적용 가능한 ‘만능 암 치료법’나왔다 정상세포 손상 없이 암세포만 쏙쏙 골라 죽이는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의길이 열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이 부작용 없이 모든 종류의 암에 적용할 수 있는 암 치료법 ‘신델라(CINDELA,Cancer specific INDEL Attacker)’를 개발했다. 방사선, 화학 항암제를 사용하는 기존 항암치료는 탈모, 설사 등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한다…. Category01 2022.02.25
배우자 선택 눈 높은 이유 있었다!.. 주관적 효용 극대화 때문 UNIST 권오상· 정동일 교수, 순차 의사결정상황서 행동 비합리성 설명하는 수리모델 제시 기준값 보다 낮으면 만족도 음수·개인 만족 극대화하는 주관적 합리성…. PLoS Comput. Biol. 게재 결혼 상대 찾기, 주택 매입의 공통점이 있다. 현실적 제약 때문에 가능한 전체 선택지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한 채 특정 시점에서는 탐색을… Category01 2021.12.31
UNIST 정동일 교수팀, 인간 뇌 ‘사회적 통제력 선호’ 체계 규명 우리 뇌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환경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지를 규명하는 단서가 울산과학기술원이 포함된 국제 공동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사회적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상황을 선호하며, 전향적 사고방식을 활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UNIST(울산과기원·총장 이용훈)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 교수가 ‘사회적 환경’에서 뇌의 의사결정 과정을 과학적으로 밝히는… Category01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