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뇌 질환 치료제’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찾았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주진명 교수 연구팀은 인공 혈액–뇌 장벽 칩을 이용해 뇌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혈액–뇌 장벽 투과 압타머(Aptamer)’를 개발했다. 혈액–뇌 장벽 (blood-brain barrier; BBB)은 중추신경계통(CNS)의 평형을 엄격하게 조절하는 생체 장벽이다. 이는 뇌 기능에 필수적인 물질만 출입을 허용해 외부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지방 조직의 미세 환경을 모사한 생체모사칩 개발!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팀은 인체 백색지방조직의 생리·병리학적 특징을 모사하는 생체모사칩(microphysiological system)을 개발했다. 지방조직은 대부분이 지방세포로 이루어진 체내 결합 조직의 한 종류다. 그 중 백색지방조직은 체내 에너지 저장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방산이나 호르몬 등 다양한 물질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이다. 이러한 백색지방조직에 과도한 지방의…

뇌 질환 치료를 위한 혈액-뇌 장벽 모델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POSTECH(총장 김무환) 기계공학과 김동성 연구팀은 생체 기저막을 모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활용한 기능성 혈액-뇌 장벽 모델을 개발했다.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은 혈관내피세포와 그 주위를 둘러싸 지탱하는 기저막(basement membrane), 별아교세포, 그리고 혈관주위세포로 이루어진 생체 장벽으로 뇌 기능에 필수적인 물질만 출입을 허용하여…

“일그러진 영상을 선명하게”… 손쉬운 영상 복원법 나왔다!

안개에 가려져 일그러진 영상을 쉽게 복원하는 방법이 나왔다. 비슷한 원리를 이용해 피부조직에 가려진 장기를 고해상도로 드러나게 할 수도 있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 교수팀이 왜곡된 영상에 숨어있는 정보를 이용해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자율주행차를 위한 고품질 영상이나 생체조직 내부의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할 기술로 주목받고…

슈파인세라퓨틱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 수상!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정범 교수는 지난 11월 30일(수)에 개최된 2022 울산 스타트업 페스타(USF)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척수손상치료제를 개발하는 ‘슈파인세라퓨틱스’를 창업해 국가 사회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이날 개막식에는 “창업인의 마음을 새기다” 주제로 한 오프닝 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개막 퍼포먼스, 공로자 표창 수여, 전시장…

‘2022 상위 1% 연구자’에 UNIST 10명!… “국내 최다”

UNIST 교원 10명이 ‘세계 상위 1% 연구자(HCR)’에 선정됐다. 올해 명단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은 HCR을 보유한 기관이 UNIST다. 클래리베이트(Clarivate)가 15일(화) ‘2022 HCR(Highly Cited Researchers: 논문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을 공식 발표했다. HCR은 분야별로 논문이 인용된 횟수를 정리해 매년 발표하는 ‘상위 1% 연구자’ 명단이다. 올해 명단에 이름을…

감염병 치료 효과 크게 높이는 新자성나노입자

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 같은 감염병 원인을 깔끔하게 없애는 기술이 개발됐다.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135종을 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종들도 혈액에서 제거하는 게 가능하다. 강주헌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자성나노입자 표면을 혈액세포막으로 감싼 ‘혈액세포막–자성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이 입자를 체외에서 순환하는 환자의 혈액에 반응시키면 세균 또는…

늙으면 철(Fe) 쌓이는 뇌, 신경세포의 대응법 찾았다

우리가 나이를 먹으면 뇌에 철(Fe)이 쌓인다. 철이 많아지면 뇌세포를 죽여 퇴행성 신경질환이 생길 수 있는데, 모두가 그렇지는 않다. 우리 몸은 ‘뇌에 쌓이는 철에 대응할 계획’이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의 권태준, 조형준 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나이를 먹을수록 뇌에 쌓이는 철에 대한 신경세포의 대응 방법’을 규명했다. 노화 동물 모델과 세포주…

BME Seminar (2022.08.25(Thurs) 16:00~17:00)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서 Ecole Polytechnique 의 Prof. Thierry Gacoin 와 Prof. Jongwook Kim 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관심있는 UNIST 구성원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일시: 2022.08.25(목), 16:00 – 17:00 2. 장소: 4공학관 N-104 3. 연사: Prof. Thierry Gacoin & Prof. Jongwook Kim (Ecole Polytechnique) 4. 연락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 교수 (jh.park@un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