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선정 랩온어칩 분야 대가.. 바이오메디컬 분야 정회원 선정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가 국내 공학 분야 최고 권위 단체인 한국공학한림원의 정회원으로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지난달 25일 학계 인사 25명, 산업계 인사 25명으로 구성된 신입 정회원 명단을 공개했다. 조윤경 교수는 권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등과 함께 명단에 올랐다…. Category01 2024.01.04
UNIST 교원 9명, 세계 상위 1% 영향력 연구자 선정 서울대 다음으로 HCR 선정 규모 커.. 로드니 루오프 교수 10년 연속 이름 올려 전 세계 67개국 6,849명 2023 HCR로 선정 돼…국내 기관 소속 총 65명 선정 논문 피인용 수를 기준으로 선정하는 ‘세계 상위 1% 연구자’에 UNIST(총장 이용훈) 교원 9명이 선정됐다. 서울대(10명)에 이어 국내 2번째 규모다…. Category01 2023.11.17
조윤경· 김동석 교수 연구성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선정 암 진단 기술· 대면적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로 각각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부문 수상 조윤경 교수 100선 명단에 2년 연속 올라.. 김동석 교수 연구성과 SCIENCE誌 게재 UNIST 연구성과 2건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9일 발표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R&D)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와 탄소중립대학원 김동석 교수의 성과가 각각 생명해양,… Category01 2023.11.16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IBS 연구진, DNA 상동재조합 초기 복구 메커니즘 규명 상동재조합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방암, 난소암 등 항암 연구에 활용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이규영 연구위원(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가장 심각한 DNA 손상으로 알려진 ‘DNA 이중나선절단(Double-strand break)’의 초기 복구 단계가 정교하게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 Category01 2023.10.24
자기반응성 T세포의 자가항원 반응의 새로운 시각 제시 UNIST 박계명 교수팀, T세포의 자기반응으로 자기·비자기 구분 가능성 제시 세포의 상호작용 면역학적 현상들에 대한 이해도 높여… Trends in Immunology 게재 면역계의 T세포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분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면역관련 질병 치료 반응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ategory01 2023.10.12
인간의 위점막 모사해 헬리코박터균 방어시스템 발견했다 UNIST 박태은 교수팀, 미세유체 기반 위점막 장벽 모사 생체칩 개발 위점막펩티드의 독특한 방어시스템 관찰… Adv. Sci. 게재 인간의 위점막 시스템을 모사한 생체칩이 개발됐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상황을 재현해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 질환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Category01 2023.08.30
또 광고야? 짜증 나지만 계속 기억에 남는 뇌과학적 이유 중간광고에 의해 생기는 부정적 감정이 광고를 기억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졌다. 광고 효과와 수익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성필 교수팀은 뇌파(EEG)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광고 정보를 기억하고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중간광고가 삽입된 영상 컨텐츠를… Category01 2023.08.16
손상된 유전자 복구 위한 여러 복구 메커니즘의 상호작용 최초 확인 DNA 이중나선절단 복구’에 ‘틀린짝 복구’ 핵심 단백질 관여로 돌연변이 적게 생기도록 복구 암세포 손상 복구 억제하는 항암제 개발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명경재 단장(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은 손상된 유전자를 복구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유전자 복구 메커니즘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지금까지는 한… Category01 2023.05.16
지방 조직의 미세 환경을 모사한 생체모사칩 개발! UNIST 박태은 연구팀, 비만 연구를 위한 지방조직 체외플랫폼 개발 비만 관련 질병 규명과 치료제 개발 가능해… Acta Biomaterials 게재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팀은 인체 백색지방조직의 생리·병리학적 특징을 모사하는 생체모사칩(microphysiological system)을 개발했다. 지방조직은 대부분이 지방세포로 이루어진 체내 결합 조직의 한 종류다. 그 중 백색지방조직은 체내… Category01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