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openus

조윤경· 김동석 교수 연구성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선정

암 진단 기술· 대면적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로 각각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부문 수상 조윤경 교수 100선 명단에 2년 연속 올라.. 김동석 교수 연구성과 SCIENCE誌 게재 UNIST 연구성과 2건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9일 발표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R&D)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와 탄소중립대학원 김동석 교수의 성과가 각각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부문의...

UNIST·UCLA 스마트헬스센터, 디지털헬스케어챌린지 우승팀 시상

UNIST(총장 이용훈)는 미국 UCLA 스마트헬스센터(UCLA Center for SMART Health)와 공동 주최한 ‘디지털 헬스 케어 챌린지(Digital Healthcare Challenge by UNIST X UCLA Center for SMART Health)’의 최종 우승팀으로 메디컬에이아이를 선정했다. UNIST는 30일(월) UNIST 해동홀에서 시상식을 열고, 이 같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헬스케어챌린지는 국내 의료 디지털솔루션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IBS 연구진, DNA 상동재조합 초기 복구 메커니즘 규명 상동재조합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방암, 난소암 등 항암 연구에 활용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이규영 연구위원(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가장 심각한 DNA 손상으로 알려진 ‘DNA 이중나선절단(Double-strand break)’의 초기 복구 단계가 정교하게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 복구 과정에...

자기반응성 T세포의 자가항원 반응의 새로운 시각 제시

UNIST 박계명 교수팀, T세포의 자기반응으로 자기·비자기 구분 가능성 제시 세포의 상호작용 면역학적 현상들에 대한 이해도 높여… Trends in Immunology 게재 면역계의 T세포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분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면역관련 질병 치료 반응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의과학대학원...

인간의 위점막 모사해 헬리코박터균 방어시스템 발견했다

UNIST 박태은 교수팀, 미세유체 기반 위점막 장벽 모사 생체칩 개발 위점막펩티드의 독특한 방어시스템 관찰… Adv. Sci. 게재 인간의 위점막 시스템을 모사한 생체칩이 개발됐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상황을 재현해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 질환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공성호 교수 연구팀은 오가노이드(Organoid)와...

또 광고야? 짜증 나지만 계속 기억에 남는 뇌과학적 이유

중간광고에 의해 생기는 부정적 감정이 광고를 기억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졌다. 광고 효과와 수익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성필 교수팀은 뇌파(EEG)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광고 정보를 기억하고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중간광고가 삽입된 영상 컨텐츠를 보는 그룹(실험군)과...

UNIST, 아프리카 에스와티니 기독의과대학과 MOU 체결

UNIST가 아프리카 대륙의 여성암 정복에 첫발을 디뎠다. 첫 시작은 에스와티니다. UNIST는 28(수) 에스와티니 기독의과대학과 MOU를 체결하고 자궁경부암 진단·치료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UNIST는 자궁경부암 진단·치료 기술 연구·개발을, 에스와티니 기독의과대학은 임상 테스트 베드를 제공하는 역할 맡게 된다. UNIST는 이 같은 프로젝트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체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WHO...

손상된 유전자 복구 위한 여러 복구 메커니즘의 상호작용 최초 확인

DNA 이중나선절단 복구’에 ‘틀린짝 복구’ 핵심 단백질 관여로 돌연변이 적게 생기도록 복구 암세포 손상 복구 억제하는 항암제 개발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명경재 단장(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은 손상된 유전자를 복구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유전자 복구 메커니즘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지금까지는 한 종류의 DNA...

UNIST-울산대의대 의과학원 교과목개발 간담회 개최

UNIST(총장 이용훈)와 울산대학교(총장 오연천)는 11일(화) 오후 12시 UNIST 유니스파크에서 ‘의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HST(Health Sciences and Technology)를 추진하기 위한 첫 간담회를 개최했다. UNIST는 이번 행사를 통해 9월부터 운영될 UNIST 정보바이오융합대학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협력 활동의 초석을 다졌다. 두 대학 관계자는 간담회를 통해 교과목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함께 의견을...

UNIST, 울산시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북콘서트 개최!

UNIST(총장 이용훈)은 30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6시까지 학술정보관 1층 복합문화공간에서 『마음은 단단하게 인생은 유연하게』 저자 정두영 교수와 함께 북콘서트(저자와의 만남)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 2022년 9월에 개소한 UNIST 복합문화공간 문화 행사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UNIST는 정두영 교수의 책을 바탕으로 구성원과 울산시민의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