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뉴스

조윤경· 김동석 교수 연구성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선정

암 진단 기술· 대면적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로 각각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부문 수상 조윤경 교수 100선 명단에 2년 연속 올라.. 김동석 교수 연구성과 SCIENCE誌 게재 UNIST 연구성과 2건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9일 발표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R&D)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와 탄소중립대학원 김동석 교수의 성과가 각각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부문의...

UNIST·UCLA 스마트헬스센터, 디지털헬스케어챌린지 우승팀 시상

UNIST(총장 이용훈)는 미국 UCLA 스마트헬스센터(UCLA Center for SMART Health)와 공동 주최한 ‘디지털 헬스 케어 챌린지(Digital Healthcare Challenge by UNIST X UCLA Center for SMART Health)’의 최종 우승팀으로 메디컬에이아이를 선정했다. UNIST는 30일(월) UNIST 해동홀에서 시상식을 열고, 이 같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헬스케어챌린지는 국내 의료 디지털솔루션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IBS 연구진, DNA 상동재조합 초기 복구 메커니즘 규명 상동재조합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방암, 난소암 등 항암 연구에 활용 기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이규영 연구위원(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가장 심각한 DNA 손상으로 알려진 ‘DNA 이중나선절단(Double-strand break)’의 초기 복구 단계가 정교하게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 복구 과정에...

자기반응성 T세포의 자가항원 반응의 새로운 시각 제시

면역계의 T세포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분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면역관련 질병 치료 반응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의과학대학원 및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계명 교수팀은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자기반응성 T세포의 자가항원에 대한 반응이 오히려 자가면역억제에 큰 역할을 할...

인간의 위점막 모사해 헬리코박터균 방어시스템 발견했다

인간의 위점막 시스템을 모사한 생체칩이 개발됐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상황을 재현해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 질환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공성호 교수 연구팀은 오가노이드(Organoid)와 생체칩(Organ-on-a-chip)기술을 접목해 실제 인간의 위점막 보호 기능을 모사한 생체모사칩을 개발했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통해 사람의 장기를 구현한...

또 광고야? 짜증 나지만 계속 기억에 남는 뇌과학적 이유

중간광고에 의해 생기는 부정적 감정이 광고를 기억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졌다. 광고 효과와 수익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성필 교수팀은 뇌파(EEG)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광고 정보를 기억하고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중간광고가 삽입된 영상 컨텐츠를 보는 그룹(실험군)과...

희귀 유방암 ‘삼중음성 아포크린 유방암’의 특성 밝혔다

희귀 유방암으로 알려진 삼중음성 아포크린 유방암에 대한 연구가 진행돼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로 환자의 특이적인 유전변이를 파악해 맞춤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이세민 교수팀은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연, 임영혁 교수팀과 공동으로 삼중음성유방암과 구별되는 ‘삼중음성 아포크린 암종의 다중 오믹스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기존에...

손상된 유전자 복구 위한 여러 복구 메커니즘의 상호작용 최초 확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명경재 단장(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은 손상된 유전자를 복구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유전자 복구 메커니즘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지금까지는 한 종류의 DNA 손상 과정을 복구하기 위해 그에 한정된 하나의 복구 메커니즘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DNA는 생명 유지에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뇌 질환 치료제’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찾았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주진명 교수 연구팀은 인공 혈액–뇌 장벽 칩을 이용해 뇌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혈액–뇌 장벽 투과 압타머(Aptamer)’를 개발했다. 혈액–뇌 장벽 (blood-brain barrier; BBB)은 중추신경계통(CNS)의 평형을 엄격하게 조절하는 생체 장벽이다. 이는 뇌 기능에 필수적인 물질만 출입을 허용해 외부물질의 침입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지방 조직의 미세 환경을 모사한 생체모사칩 개발!

UNIST(총장 이용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팀은 인체 백색지방조직의 생리·병리학적 특징을 모사하는 생체모사칩(microphysiological system)을 개발했다. 지방조직은 대부분이 지방세포로 이루어진 체내 결합 조직의 한 종류다. 그 중 백색지방조직은 체내 에너지 저장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방산이나 호르몬 등 다양한 물질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이다. 이러한 백색지방조직에 과도한 지방의 축적으로...